스바루 망원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바루 망원경은 일본 국립천문대가 운영하는 광학-적외선 천문 망원경으로,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정상에 위치해 있다. 1991년 건설이 시작되어 1999년부터 과학 관측을 시작했으며, 8.2m 유효 구경의 주 반사경과 다양한 관측 장비를 갖추고 있다. 능동 및 적응 광학 기술을 통해 고해상도 관측을 수행하며, 우주의 대규모 구조, 초신성, 퀘이사, 은하 등을 발견하는 등 주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NASA, ESA 등 국제 협력을 통해 다양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의 천문대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은 1987년 하와이에 설치된 15미터 서브밀리미터 망원경으로, 276개의 패널로 구성된 포물선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의 공동 자금으로 운영되다가 2015년 동아시아 천문대 컨소시엄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 하와이의 천문대 - 캐나다 프랑스 하와이 망원경
캐나다 프랑스 하와이 망원경(CFHT)은 미국 하와이 대학교, 캐나다 국립 연구 위원회,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가 협력하여 운영하는 천문대로, 5개의 관측 장비를 사용하며 여러 국가의 천문대와 협력 관계를 맺고 대중 홍보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 망원경 - 능동 광학
능동 광학은 대형 반사 망원경에서 바람, 중력, 온도 변화로 인한 거울의 변형을 보정하기 위해 거울 형태를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기술로, 액추에이터, 영상 품질 검출기, 제어 컴퓨터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망원경 - 굴절 망원경
굴절 망원경은 렌즈로 빛을 굴절시켜 상을 확대하는 광학 망원경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천문 관측에 활용하며 유명해졌으나, 색수차 문제와 렌즈 처짐 현상 등으로 반사 망원경에 자리를 내주었으며, 갈릴레이식, 케플러식, 무색수차 굴절 망원경 등의 종류가 있다. - 기쿠치 간상 수상자 - 구로다 가쓰히로
교토대 경제학부 졸업 후 교도통신과 산케이 신문에서 서울 지국장을 역임한 일본 언론인 구로다 가쓰히로는 한일 관계 관련 저술과 방송 출연으로 한국에서 인지도를 얻었으나, 반일 보도 비판, 망언 논란, 극우 언론인 비판, 불법 취업 벌금형 등으로 논란이 많았다. - 기쿠치 간상 수상자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스바루 망원경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립천문대 하와이 관측소 스바루 망원경 |
영어 명칭 | Subaru Telescope |
일본어 명칭 | すばる望遠鏡 (Subaru Bōenkyō) |
종류 | 광학/적외선 망원경 |
![]() | |
위치 정보 | |
위치 | 미국하와이 주 마우나케아 산 |
고도 | 4139 m |
망원경 정보 | |
제작 완료 | 1998년 |
구경 | 8.2m (사용 가능: 8.2m) |
구경 (기타) | 1330/1400/1265 mm |
집광 면적 | 53m2 |
각분해능 | 0.23″ |
초점 거리 | f/1.83 (15.000 m), 16.4m (주초점) |
망원경 형식 | 주초점/리치-크레티앙식/나스미스식 |
가대 | 경위대 |
운영 정보 | |
운영 조직 | 국립천문대 |
관측 시작 년도 | 1999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스바루 망원경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스바루 망원경은 현재 일본 자연과학연구기구(NINS) 산하 일본국립천문대(NAOJ) 하와이 관측소에서 운영하고 있다. 망원경 이름은 공모를 통해 '스바루(すばる일본어)'로 정해졌는데, 이는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을 뜻하는 한국어의 좀생이별에 해당한다.
1991년부터 총 9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총비용은 약 3800억엔 (미화 3.6억달러, 한화 약 3800억원)가 들었다. 스바루 망원경은 단일 반사경 망원경 중에서는 당시 세계 최대였다.
1999년 9월에는 사야코 공주가 망원경 준공식에 참석하여 직접 관측하기도 했다. 이는 최첨단 망원경을 맨눈으로 관측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
스바루 망원경은 9번 행성 탐색의 주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켁 망원경의 75배에 달하는 넓은 시야와 강력한 집광력 덕분에 심우주 광시야 탐사에 적합하며, 콘스탄틴 바티긴과 마이클 브라운 연구팀, 스콧 셰퍼드와 채드 트루히요 연구팀이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스바루 망원경에는 여러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261개의 액추에이터가 주 반사경을 지지하여 망원경을 기울일 때 발생하는 왜곡을 정밀하게 보정하는 능동 광학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망원경 돔(인클로저) 자체를 원통형으로 만들어, 내부 발열로 인한 난류 발생을 억제하여 일반적인 반구형 돔보다 관측에 유리하다.
관측은 망원경에서 약 30km 떨어진 하와이섬 히로에 있는 센터에서 원격으로 이루어진다.[26]
2. 1. 개발 배경
1984년, 도쿄대학교는 직경 7.5m 망원경의 개념을 개발하고 연구하기 위한 기술 연구팀을 구성했다. 1985년, 일본 과학평의회의 천문학 위원회는 "일본 국립 대형 망원경"(JNLT) 개발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했고, 1986년 도쿄대학교는 하와이 대학교와 하와이에 망원경을 건설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4] 1988년, 도쿄 천문대의 재편성을 통해 일본 국립 천문대가 설립되어 JNLT 및 기타 대규모 국가 천문 프로젝트를 감독하게 되었다.[4]국립천문대가 건설 준비를 진행하던 당시 프로젝트 명칭은 "일본국립대형망원경"(Japan National Large Telescope|일본국립대형망원경영어)이었다. 1991년 건설이 시작되면서 망원경 애칭 공모가 진행되어 "스바루"가 선정되었다.
2. 2. 건설 과정
1999년 1월 퍼스트라이트(시험 관측)가 이루어졌으며, 건설 총액은 4000억엔이었다. 시스템 설계 및 건설은 대부분 미쓰비시전기가 담당했다. 국립천문대가 건설 준비를 진행하던 당시 프로젝트 명칭은 "일본국립대형망원경"(Japan National Large Telescope, JNLT영어)이었다. 1991년 건설 시작과 함께 망원경 애칭 공모가 진행되어 "스바루"가 선정되었다.
1999년 국립천문대 "스바루" 프로젝트팀은 제47회 기쿠치 칸상을 수상했다.
주경은 미국의 코닝과 콘트라베스에서 7년 이상의 시간을 들여 제작되었다.
2. 3. 사고
1993년 10월 13일, 지게차가 넘어지는 사고로 42세의 폴 F. 로렌스(Paul F. Lawrence)가 사망했다. 1996년 1월 16일에는 용접기 불꽃이 단열재에 옮겨붙어 유독한 연기가 발생, 52세의 마빈 아루다(Marvin Arruda), 38세의 리키 델 로사리오(Ricky Del Rosario), 36세의 워렌 K. "킵" 칼레오(Warren K. "Kip" Kaleo)가 사망하고 26명의 다른 작업자가 힐로의 병원으로 이송되었다.[37] 사망한 네 명의 작업자는 망원경 돔 기지 외부에 있는 명판과 매년 1월 마우나케아 접근 도로에 임시로 게시되는 표지판으로 기리고 있다.2011년 7월에는 스바루 망원경의 주 초점부에서 냉각액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냉각액은 주경을 포함한 광범위한 곳에 튀었고, 장비도 침수되어 관측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37] 이후 원인 규명과 복구 작업이 진행되어 2011년 9월까지 나스미스 초점, 카세그렌 초점, 그리고 적외선용 주 초점에서의 관측을 재개했다. 손상이 컸던 가시광선용 주 초점의 복구에는 시간이 걸렸지만, 2012년 7월 15일에 공동 이용 관측을 재개할 수 있었다.[38]
3. 구조 및 기술
스바루 망원경은 일본 자연과학연구기구(NINS) 산하 일본국립천문대(NAOJ) 하와이 관측소에서 운용하고 있다. 망원경 이름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뜻하는 한국어 '좀생이별'에 해당하는 일본어 '스바루'에서 따왔다.[40] 유효 구경 8.2m, 두께 20cm, 무게 24톤의 단일 반사경을 사용하며, 능동 광학계를 통해 주반사경 표면을 0.014μm 이내 오차로 유지한다.
망원경은 주초점, 카세그레인 초점, 두 개의 나스미스 초점 등 총 4개의 초점을 가지고 있다. 인클로저는 공기 흐름을 안정시키고, 반사경과 돔은 온도 조절 장치를 통해 와동(터뷸런스) 발생을 막는다. 1991년부터 9년간 건설되었으며, 총 380억 엔(약 3,800억 원)이 투입되었다. 단일 반사경 망원경 중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40] 주반사경은 컴퓨터 제어 액추에이터 261개로 정밀하게 제어되며, 이는 미쓰비시 전기(MELCO)가 개발했다.
스바루 망원경은 리치-크레티앙 망원경 반사 망원경으로, 카세그레인 초점, 나스미스 초점, 주 초점에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넓은 시야를 제공하여 심우주 광시야 탐사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3]
1984년 도쿄대학교에서 망원경 개발을 시작했고, 1986년 하와이 대학교와 협약을 맺었다. 1988년 일본 국립 천문대가 설립되어 프로젝트를 감독하게 되었다.[4] 1991년 건설 시작과 함께 '스바루'라는 공식 명칭이 정해졌고, 1998년 완공, 1999년 1월 첫 과학 영상 촬영에 성공했다.[5] 1999년 9월 사야코 공주가 준공식에 참석했다.[6]
망원경 설계에는 능동 광학과 같이 주 반사경의 왜곡을 보정하고, 외함 건물 형태로 대기 난류를 최소화하는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9번 행성 탐색에 사용될 정도로 넓은 시야와 집광력을 자랑한다.[8]
스바루 망원경의 돔은 망원경과 연동되는 원통형 인클로저(enclosure)이다. 높이는 43m, 밑면 지름은 40m, 무게는 2,000t이며, 전체가 알루미늄 패널로 덮여 있다. 망원경을 기울였을 때 발생하는 주경의 왜곡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내부 발열에 의한 난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반구형 돔이 아닌 원통형 돔 형태를 채택했다.[26][27]
항목 | 내용 |
---|---|
망원경 설치 장소 | |
위도 | 북위 19°49′43″ |
경도 | 서경 155°28′50″ |
해발 | 4,139m |
경위대 | |
경위대 형식 | 경위대식 |
망원경 본체 | |
높이 | 22.2m |
최대 너비 | 27.2m |
무게 | 555t |
주 반사경 | |
유효 직경 | 8.2m |
두께 | 20cm |
무게 | 22.8t |
소재 | ULE (초저팽창 유리) |
평균 표면 연마 오차 | 14nm |
초점 거리 | 15m |
돔 | |
망원경 연동 원통형 인클로저 | |
높이 | 43m |
기본 직경 | 40m |
무게 | 2,000t |
전체 | 알루미늄 패널로 덮여 있다. |
3. 1. 주반사경
스바루 망원경의 주반사경은 유효 직경 8.2m, 두께 20cm, 무게 22.8t이다. 초저팽창 유리(ULE)로 제작되었으며, 평균 표면 연마 오차는 14nm이다. 초점 거리는 15m이다.[41]항목 | 상세 |
---|---|
물리적 구경 | 8.3m |
중앙 구멍의 직경 | 1.2m |
유효 구경 | 8.2m (빛을 모으는 면적을 원의 직경으로 환산한 값.) |
두께 | 20cm |
무게 | 22.8t |
재료 | ULE (열팽창이 지극히 작은 유리) |
평균 표면 오차 | 12nm |
초점 거리 | 15m |
Strehl ratio | K band에서 0.4[41] J band에서 0.0296, H band에서 0.103[42] (Strehl ratio는 표면 오차 및 대기 효과에 의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는 값. 이상적인 경우 1.0의 값을 갖는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경우 가시광에서 약 0.8의 값을 갖는다.) |
방식 | 광학식 리치-크레티앙식 망원경/나스미스식 망원경 |
3. 2. 망원경 구조
스바루 망원경은 리치-크레티앙 방식의 반사 망원경이다. 주 반사경 아래의 카세그레인 초점, 망원경 마운트 측면 외함에 있는 두 개의 나스미스 초점 중 하나(제3 반사경으로 빛을 보낼 수 있음)를 사용하거나, 2차 반사경 대신 주 초점에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대형 망원경에서는 드문 방식이지만, 넓은 시야를 제공하여 심우주 광시야 탐사에 적합하다.[3]망원경의 마운트(가대)는 고도-방위각 방식(Alt-Az 방식)을 사용한다.
망원경 설계에는 여러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261개의 컴퓨터 제어 액추에이터가 주 반사경 아래쪽에서 눌러 망원경 방향의 변화로 인한 주 반사경의 왜곡을 보정하는 능동 광학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망원경 외함 건물의 형태는 대기 난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천문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다.
항목 | 내용 |
---|---|
망원경 설치 장소 | |
위도 | 북위 19°49′43″ |
경도 | 서경 155°28′50″ |
해발 | 4,139m |
경위대 | |
경위대 형식 | 경위대식 |
망원경 본체 | |
높이 | 22.2m |
최대 너비 | 27.2m |
무게 | 555t |
주 반사경 | |
유효 직경 | 8.2m |
두께 | 20cm |
무게 | 22.8t |
소재 | ULE (초저팽창 유리) |
평균 표면 연마 오차 | 14nm |
초점 거리 | 15m |
돔 | |
망원경 연동 원통형 인클로저 | |
높이 | 43m |
기본 직경 | 40m |
무게 | 2,000t |
전체 | 알루미늄 패널로 덮여 있다. |
3. 3. 능동광학 및 적응광학
스바루 망원경에는 여러 가지 첨단 기술이 사용되었다. 큰 특징 중 하나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261개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경을 뒷면에서 지지함으로써 망원경을 기울였을 때 발생하는 주경의 왜곡을 정밀하게 보정하여 항상 이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능동 광학이다.[7] 망원경 방향의 변화로 인한 주 반사경의 왜곡을 보정한다.[4] 또한 천문대 건물 자체의 형태를 원통형 돔 형태로 함으로써, 특히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한 난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일반적인 반구형 돔보다 적합하다.지름 8.2m에 비해 두께가 20cm밖에 되지 않는 반사경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능동 지지 장치(Active Support)를 탑재하고 있다. 이 지지 장치는 반사경 정밀도를 항상 100 nm ()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261개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경을 뒷면에서 지지함으로써, 망원경의 자세 변화에 의한 주경의 변형을 0.1초에 1회의 빈도로 자동적으로 미세 조정하고 있다.
지구 대기의 난류 등 더 빠른 변동에 기인하는 별상의 흔들림을 실시간으로 바로잡는 장치(보상광학(Adaptive Optics))는 2000년 12월부터 카세그렌 초점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근적외선에서는 회절한계(Diffraction limit)에 가까운 별상을 얻고 있다. 더욱이 적외선 나스미스 초점에 인공별(레이저 가이드 스타)을 이용한 더욱 고정밀의 보상광학계를 개발하여, 2006년 10월에 퍼스트라이트(초관측)에 성공했다.[4]
이러한 기술들에 의해 천체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는 동시에, 원거리에 있는 미약한 빛을 방출하는 은하나 성운 등의 관측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다.
3. 4. 돔
스바루 망원경의 돔은 망원경과 연동되는 원통형 인클로저(enclosure)이다. 높이는 43m, 밑면 지름은 40m, 무게는 2,000t이며, 전체가 알루미늄 패널로 덮여 있다. 망원경을 기울였을 때 발생하는 주경의 왜곡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내부 발열에 의한 난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반구형 돔이 아닌 원통형 돔 형태를 채택했다.[26][27]4. 관측 장비
스바루 망원경에는 가시광선과 적외선 파장 관측을 위해 여러 대의 카메라와 분광기를 네 개의 초점에 장착할 수 있다.
장비명 | 설명 | 개발 | 비고 |
---|---|---|---|
다천체 적외선 카메라 및 분광기(MOIRCS) | 다수의 천체 스펙트럼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광시야 카메라 및 분광기, 카세그레인 초점에 장착 | 도호쿠 대학과 일본국립천문대 공동 개발[3] | |
적외선 카메라 및 분광기(IRCS) | 새로운 188요소 적응광학 장치(AO188)와 함께 사용, 적외선 나스미스 초점에 장착 | 하와이 대학교와 공동 개발[3] | |
냉각 중적외선 카메라 및 분광계(COMICS) | 차가운 성간 먼지를 연구할 수 있는 중적외선 카메라 및 분광계, 카세그레인 초점에 장착 | 오카야마 천체물리관측소에서 개발[31] | 2020년 퇴역[14] |
미광 천체 카메라 및 분광기(FOCAS) | 최대 100개의 천체 스펙트럼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가시광선 카메라 및 분광기, 카세그레인 초점에 장착 | 오카야마 천체물리관측소에서 개발[31] | |
스바루 주초점 카메라(Suprime-Cam) | 80메가픽셀 광시야 가시광선 카메라, 주초점에 장착 | 일본국립천문대와 국립 도쿄대학이 공동 개발 | 2012년 하이퍼 수프림-캠에 의해 대체, 2017년 5월 퇴역[3] |
고분산 분광기(HDS) | 가시광선 분광기, 광학 나스미스 초점에 장착[3] | ||
섬유 다천체 분광기(FMOS) | 이동식 광섬유를 사용하여 최대 400개의 천체 스펙트럼을 동시에 촬영하는 적외선 분광기, 주초점에 장착[3] | ||
적응광학용 고대비 코로나그래픽 이미저(HiCIAO) | 다른 별 주위의 행성을 찾는 데 사용되는 적외선 카메라, AO188과 함께 사용, 적외선 나스미스 초점에 장착[3] | ||
하이퍼 수프림-캠(HSC) | 9억 화소 초광시야(1.5° 시야) 카메라, 2012년에 첫 관측, 2014년부터 공개 사용[17], 극도로 큰 광시야 보정 광학계는 캐논에서 제작[18], 암흑 물질 분포를 결정하는데 사용[19] | ||
스바루 코로나그래픽 극한 적응 광학(SCExAO) | 외계 행성을 직접 촬영하기 위한 고대비 이미징 시스템,[20] 보텍스, 4분면 위상 마스크 및 8팔분면 위상 마스크 버전과 형태가 조정된 동공 코로나그래프 등 여러 가지 다른 유형의 코로나그래프가 있음[22] | ||
근적외선 분광촬영장치 IRCS | 하와이 대학교 공동개발 | ||
코로나그래프 촬영장치 CIAO | 쌍성계나 계외행성계 관측[31] | ||
냉각 중간 적외선 분광촬영장치 COMICS | 오카야마 천체물리관측소 개발 | ||
미광천체 분광촬영장치 FOCAS | 오카야마 천체물리관측소 개발 | ||
광시야 주초점 카메라 Suprime-Cam[28] | |||
초광시야 주초점 카메라 Hyper Suprime-Cam(하이퍼 슈프림 캠, HSC)[29][30] | |||
고분산 분광기 HDS | |||
다천체 근적외선 분광촬영장치 MOIRCS |
이러한 관측 장치들을 통해 가시광선부터 적외선 영역까지 관측이 가능하다. 영상을 목적으로 한 장치와 분광 관측을 목적으로 한 장치를 관측 대상에 따라 4개의 망원경 초점 중 하나에 장착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파장을 커버한다.[31]
관측 보조 장치로는 함마쓰 포토닉스에서 개발한 파면 센서 기반의 보상 광학 장치와 이화학연구소에서 개발된 레이저 가이드 별 장치 등이 있다.
5. 주요 연구 성과
스바루 망원경은 9번 행성 탐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케크 망원경의 75배에 달하는 넓은 시야와 강력한 집광력 덕분에 심우주를 넓게 관측하는 데 유리하다.[8] 이 탐색은 콘스탄틴 바티긴과 마이클 브라운 연구팀, 그리고 스콧 셰퍼드와 채드 트루히요 연구팀이 진행하고 있으며, 최대 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8]
스바루 망원경은 국제 협력 관측에도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5. 1. 단독 관측
- 우주의 대규모 구조의 기원이 되는 필라멘트상 성운과 은하계의 1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은하단의 기원이 되는 성운을 발견하였다.
- 적외선을 통해 우주에서 가장 먼 초신성 폭발을 포착하였다.
- 태양계 밖에 있는 미행성의 고리를 포착하였다.
- 2005년 2월, 고래자리 방향에서 관측 사상 가장 먼 은하단(128억 광년)을 포착하였다.
- 2006년 5월, 감마선 폭발 분석을 통해 우주의 재이온화가 빅뱅 후 9억 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2006년 8월, 게자리 방향에서 일본인이 발견한 것으로는 가장 먼 127억 광년 떨어진 퀘이사를 발견하였다.
- 2006년 9월, 머리털자리 방향에서 천체 관측 사상 가장 먼 128억 8천만 광년 떨어진 은하를 발견하였다.
- 2014년 11월, 스바루 망원경으로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감도로 가장 먼 우주를 탐사하여 빅뱅 후 불과 7억 년 후(131억 광년 거리)의 우주에 있는 은하 7개를 발견하였다.[35]
5. 2. 국제 협력 관측
스바루 망원경은 일본 국립천문대의 시설이지만, 국제 공동 이용 관측소이기 때문에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관측 제안을 제출할 수 있으며, 심사를 통과한 관측 제안만이 실행된다. 관측 제안은 연 2회 모집된다.- NASA의 탐사선 딥 임팩트와 연계하여, 혜성 충돌 시의 빛을 포착한다.
- 이 관측은 마우나케아 산 정상의 망원경 전체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 유럽남방천문대에서도 관측을 수행한다.
- NASA 및 유럽우주기구(ESA)의 탐사선 카시니와 연계하여,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제트 기류를 관측한다.
- NASA와 협력하여, 명왕성-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의 탐사 목표 천체를 탐색한다.
- ESA와 공동으로, 스바루/XMM-뉴턴 딥 서베이(SXDS)라고 불리는 심우주 영상 탐사를 수행한다.
- 허블 우주 망원경, 스피처 우주 망원경, 초대형 전파간섭계(VLA), VLT, XMM-뉴턴, GALEX, 찬드라, UKIRT, NOAO, CFHT 등과 공동으로, 허블 우주 망원경 핵심 프로그램인 COSMOS 프로젝트에 참가한다. X선, 자외선, 적외선, 전파의 모든 파장 대역에서 우주 대규모 구조를 관측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orning Museum of Glass - Telescopes and Mirrors
http://www.cmog.org/[...]
Cmog.org
2010-09-22
[2]
웹사이트
The Subaru Telescope
http://web-japan.org[...]
web-japan.org
2010-09-22
[3]
웹사이트
Specifications
http://www.subarutel[...]
Subaru Telescope
2010-09-22
[4]
논문
Current Performance and On-Going Improvements of the 8.2m Subaru Telescope
http://optik2.mtk.na[...]
2004-04-25
[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ubaru
http://www.naoj.org/[...]
Naoj.org
2010-09-22
[6]
뉴스
On Hawaii, A Telescope Widens Orbit Of Japane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9-09-19
[7]
간행물
Cosmic Vision
http://ngm.nationalg[...]
2009-07
[8]
뉴스
Astronomers say a Neptune-sized planet lurks beyond Pluto
http://www.sciencema[...]
Science
2016-01-20
[9]
뉴스
SUBARU 8-METER TELESCOPE DAMAGED BY LEAKING COOLANT
https://www.universe[...]
Universe Today
2015-12-24
[10]
웹사이트
Serious Hardware Incident with the Subaru Telescope Interrupts Its Operation
http://subarutelesco[...]
web-subarutelescope.org/
2011-07-05
[11]
웹사이트
Report 4: Resumption of Open Use Observations at Cassegrain Focus
http://subarutelesco[...]
2011-09-13
[12]
웹사이트
Regarding the suspention of Subaru Telescope night observation (3rd report)
https://subarutelesc[...]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2023-10-16
[13]
웹사이트
Regarding the suspension of Subaru Telescope night observation (7th report)
https://subarutelesc[...]
Subaru Telescope
2024-03-05
[14]
웹사이트
冷却中間赤外線分光撮像装置 COMICS の「ファイナルライト」
https://subarutelesc[...]
2022-10-26
[15]
논문
Cosmology from cosmic shear power spectra with Subaru Hyper Suprime-Cam first-year data
https://academic.oup[...]
2019-04-01
[16]
웹사이트
Hyper Suprime-Cam Survey Maps Dark Matter in the Universe - News - Carnegie Mellon University
http://www.cmu.edu/n[...]
2018-09-26
[17]
웹사이트
HSC
http://subarutelesco[...]
Subaru Telescope, NAOJ
2013-12-27
[18]
웹사이트
Subaru Telescope HSC Wide Field Corrector completed
http://sumire.ipmu.j[...]
[19]
논문
Satoshi Miyazaki plenary: Hyper Suprime-Cam for Weak Gravitational Lensing Survey
[20]
웹사이트
SCExAO website
http://www.naoj.org/[...]
[21]
웹사이트
SCExAO as a precursor to an ELT exoplanet direct imaging instrument
http://www.naoj.org/[...]
[22]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naoj.org/[...]
2014-08-21
[23]
웹사이트
SCExAO Science ready Capabilities
http://www.naoj.org/[...]
[24]
웹사이트
SCExAO Future Capabilities
http://www.naoj.org/[...]
[25]
논문
The Optical Design of CHARIS: An Exoplanet IFS for the Subaru Telescope
[26]
웹사이트
Activities of the Observatory
https://subarutelesc[...]
[27]
문서
Subaru Telescope Focal Points
[28]
문서
Hyper Suprime-Cam Replacement
[29]
웹사이트
キヤノン,浜松ホトニクス,三菱電機ら,すばる望遠鏡の超広視野カメラを開発
https://optronics-me[...]
2021-04-02
[30]
웹사이트
新型の超広視野カメラが開眼、ファーストライト画像を初公開 {{!}} トピックス・お知らせ
https://subarutelesc[...]
2021-04-02
[31]
문서
Subaru Telescope Instrumentation
[32]
문서
New Instrumentation Development
[33]
뉴스
新型の超広視野カメラが開眼、ファーストライト画像を初公開
http://subarutelesco[...]
すばる望遠鏡
2013-07-30
[34]
웹사이트
HiCIAO {{!}} 国立天文台 太陽系外惑星探査プロジェクト室
https://exoplanet.mt[...]
2021-04-02
[35]
뉴스
すばる望遠鏡の限界に挑んだ最遠方銀河探査 〜 宇宙初期に突然現れた銀河を発見 〜
http://subarutelesco[...]
国立天文台ハワイ観測所 (すばる望遠鏡)
2014-11-18
[36]
웹사이트
「すばる望遠鏡 銀河形成の歴史に迫る」 -すばる/XMM-ニュートン・ディープサーベイ(SXDS) 画像データ公開-
http://subarutelesco[...]
[37]
뉴스
すばる望遠鏡が冷却液漏れで観測中止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2-07-19
[38]
뉴스
すばる望遠鏡、主焦点カメラでの観測を再開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2-07-19
[39]
웹사이트
Physical parameters of Subaru Telescope
http://www.naoj.org/[...]
National Astronomical Observatory of Japan
[40]
웹사이트
미쯔비시 전기의 역사
http://global.mitsub[...]
2008-05-29
[41]
논문
Current Performance and On-Going Improvements of the 8.2m Subaru Telescope
PASJ
2004-04-25
[42]
논문
Near-infrared coronagraph imager on the Subaru 8m telescope
www.naoj.org/Observi[...]
[43]
웹사이트
http://www.astroarts[...]
[44]
웹인용
개인 홈페이지
http://www.naoj.org/[...]
200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